1. 파일 구조

정적 자원에 대한 정보를 보려면 servlet-context.xml 를 보면 되는데

파일을 보면 ! 절대 경로가 있음 확인 후 경로 설정해주면 됨

 

페이지 소스 보고 클릭해보고 경로가 맞는지 확인해보면 됨

 

 

만약 다른 폴더에서 하고 싶다면

webapp 폴더에 새로운 폴더를 만들어주면 된다

근데 보통 asset 이라 많이 씀

설정이라서 추가해주면 됨

 

그럼 파일인 경우는 ?

리소스 폴더에 index.html 넣으면

url 경로가 http://localhost:9500/ver1/resources/index.html

 

webapp 에 jsp 파일을 넣는다면 컨텍스트 다음에 jsp 파일을 입력해주면 됨

 

 

WEB-INF 는 외부 접근 불가능한데, jsp 같은 경우 접근이 가능하다 

그럼 html 은 ? 안됨

스프링프레임워크는 뷰는 기본적으로 jsp 라서 웹앱에 들어오는 건 jsp 파일이 들어오는 것

html 은 안해줌

 

jsp 파일은 서블릿 파일로 변환이 되면서 응답을 해주는데 

html 은 자바 코드가 암것도 안들어가서 동적인 처리를 아예 안하기 때문에 올 필요가 없음

 

그래서 스프링프레임워크에서는 정적인 파일과 동적인 파일을 따로 분리를 하고,

굳이 올 필요는 없지만, 인식은 하게 해준다.

 

또 여기서 webapp 에 index.jsp 파일을 생성하기 전에는 home.jsp 가 먼저 보였는데,

생성 후에는 index.jsp 가 먼저 랜더링이 된다 

 

톰캣은 jsp 파일부터 먼저 찾기 때문에 home 이 됐고, index.jsp 가 있으니까 index.jsp 가 먼저 우선 순위가 된 것